2강. 빅데이터의 개요 2

학습개요

모바일 스마트 기기와 센서의 확산, 데이터로 학습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서비스의 확산과 클라우드, 통신 네트워크 등 빅데이터 인프라와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빅데이터 시대가 열렸다. 이 강에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 등을 살펴보고 빅데이터와 관련된 인력인 데이터과학자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데이터 경제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학습목표

  1.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분석에 대해 이해한다.
  2. 빅데이터 인력인 데이터과학자를 살펴본다.
  3. 데이터경제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연습문제

  1.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분석은 좋은 데이터에 공정한 규칙 기반 통계모형을 적용, 얻은 결과가 최상”이라는 과정 중심이다.
    O
    X

    정답 : X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분석은 “무엇인지는 설명할 수 없지만, 데이터로부터 좋은 결과(예측력이 좋은)를 내는 모형이 새로운 데이터에서 좋은 성과를 내는 모형”이라는 결과 중심이고, 빅데이터 시대 이전의 데이터분석이 과정 중심이다.

  2. 데이터과학자는 데이터 수집·보관·저장·관리·정제하고, 관련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일을 한다.
    O
    X

    정답 : X

    데이터 수집·보관·저장·관리·정제하고, 관련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일을 하는 사람은 데이터 공학자이다.

  3. 다음 중 가장 바르게 기술한 것은?
    1. 데이터의 가치는 최신일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할수록 높아진다.
    2. 데이터의 가치는 오래될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하지 않을수록 높아진다.
    3. 데이터의 가치는 최신일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하지 않을수록 높아진다.
    4. 데이터의 가치는 오래될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할수록 높아진다.
      정답 : 1

      데이터의 가치는 최신일수록, 모일수록, 사용할수록, 정확할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할수록 높아진다.

정리하기

  1. 데이터과학자는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저장·가공하고, 다양한 원천의 데이터를 결합·분석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2. 빅데이터는 인공지능 모형을 개발할 때 이용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원천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 서비스는 새로운 빅데이터를 만들고 있다.
  3. 데이터 경제는 데이터가 경제의 기본 생산요소인 자본, 노동에 더해지는 새로운 생산요소가 되어 경제성장과 고용 창출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경제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