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개요
모바일 스마트 기기와 센서의 확산, 데이터로 학습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 서비스의 확산과 클라우드, 통신 네트워크 등 빅데이터 인프라와 관련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빅데이터 시대가 열렸다. 이 강에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 등을 살펴보고 빅데이터와 관련된 인력인 데이터과학자에 대해 살펴본다. 아울러 데이터 경제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학습목표
-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분석에 대해 이해한다.
- 빅데이터 인력인 데이터과학자를 살펴본다.
- 데이터경제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연습문제
- 빅데이터 시대의 데이터분석은 좋은 데이터에 공정한 규칙 기반 통계모형을 적용, 얻은 결과가 최상”이라는 과정 중심이다.
O
X정답 : X - 데이터과학자는 데이터 수집·보관·저장·관리·정제하고, 관련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일을 한다.
O
X정답 : X - 다음 중 가장 바르게 기술한 것은?
- 데이터의 가치는 최신일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할수록 높아진다.
- 데이터의 가치는 오래될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하지 않을수록 높아진다.
- 데이터의 가치는 최신일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하지 않을수록 높아진다.
- 데이터의 가치는 오래될수록, 다른 데이터와 결합할수록 높아진다.
정답 : 1
정리하기
- 데이터과학자는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저장·가공하고, 다양한 원천의 데이터를 결합·분석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 빅데이터는 인공지능 모형을 개발할 때 이용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원천으로 이용되고 있고, 이 서비스는 새로운 빅데이터를 만들고 있다.
- 데이터 경제는 데이터가 경제의 기본 생산요소인 자본, 노동에 더해지는 새로운 생산요소가 되어 경제성장과 고용 창출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경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