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강. 수식

학습개요

수식이라고 하면 왠지 수학이 떠올라서 딱딱하긴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수식은 수뿐 아니라 일반적인 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그래서 영어로는 표현식(expression)이라고 부릅니다. 값을 나타내는 수식은 어떤 처리를 나타내기 위한 문장과는 다릅니다. 그러나 문장 내에서도 값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수식이 필요합니다. 요리를 할 때 재료가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이지요. 수식에는 대개 연산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연산자는 연산 의미에 따라 산술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우선 수식의 기본 개념을 학습한 후 수식과 문장의 차이를 알아봅니다. 또한, 수식에 사용되는 연산자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학습목표

  1. 수식의 개념을 이해하고 수식과 문장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2. 산술 연산자의 종류와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3. 관계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의 종류와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정리하기

  1. 수식이란 피연산자와 연산자로 구성되어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2. 수식은 값을 나타내는 표현이며 문장은 처리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3. 산술 연산자에는 사칙 연산자 외에도 언어에 따라 나머지 연산자, 부호 연산자 등이 포함된다.
  4.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단항 연산자와 이항 연산자가 있고, 언어에 따라 삼항 연산자도 있다.
  5. 하나의 수식에 여러 연산자가 사용되는 경우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연산을 수행한다. 같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들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결합방향에 맞춰 연산을 수행한다.
  6. 결합방향에는 좌결합과 우결합이 있다. 같은 우선순위의 연산자들 중 좌결합은 가장 왼쪽 연산자부터, 우결합은 가장 오른쪽 연산자부터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7. 타입 변환은 주어진 타입의 값을 다른 타입의 값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묵시적 타입 변환과 명시적 타입 변환이 있다.
  8. 관계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서로 비교하여 둘 사이의 관계가 관계 연산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관계 연산의 결과 값은 참 또는 거짓이다.
  9. 논리 연산자에는 논리곱 연산자, 논리합 연산자, 부정 연산자 등이 포함된다. 논리 연산의 피연산자와 결과 값은 참 또는 거짓이다.
  10. 논리 연산의 경우 단락 평가를 통해 모든 논리 연산을 수행하지 않고도 수식의 값을 얻을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