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개요
지난주에 우리는 수식에 대해 배웠습니다. 수식은 요리의 재료와 비슷하다고 했습니다. 그럼 요리를 한다고 가정할 때, 그 절차는 어떻게 보여 줄 수 있을까요? 바로 문장으로 나타냅니다. 가장 기본적인 문장은 재료를 담는 문장입니다. 이는 대수학 분야의 대입과 매우 유사한데, 그래서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문장을 대입문이라고 부릅니다.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는 미리 선언해야 하는데, 변수뿐 아니라 어떤 이름을 선언하는 문장을 선언문이라고 합니다. 처리 과정 중에는 특정 조건에 따라 수행 순서를 제어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문장을 제어문이라고 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문장을 선언문과 실행문으로 구별하여 살펴봅니다. 이후 실행문에 해당하는 대입문과 제어문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학습목표
- 선언문과 실행문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대입문의 개념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 제어문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정리하기
- 문장이란 처리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선언문과 실행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선언문은 변수나 서브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 준다.
- 실행문은 실제적으로 변수도 이용하고 서브프로그램도 이용하며 데이터를 처리한다. 실행문에는 변수의 값을 변경하는 대입문과 프로그램의 수행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문이 있다.
- C, C++, Java에서 대입문은 변수에 대입된 값을 나타내는 수식에 쌍반점을 찍어 만든 문장이다.
- C++는 조건 연산자를 이용하여 값이 대입될 변수를 선택할 수도 있다.
- C, C++, Java는 다양한 복합 대입 연산자를 지원한다. 또한 단항 대입 연산자도 있다.
- 대입문에서의 묵시적 타입 변환은 대입할 값의 타입을 변수의 타입으로 변환한다. 단, Java는 확대변환인 경우만 묵시적 타입 변환이 일어나고, 축소변환이 필요한 경우는 명시적 타입 변환을 이용해야만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를 하도록 제어하는 문장이다.
- 반복문은 원하는 문장을 반복해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문장이다.
- while문은 반복문장이 한 번도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do-while문은 반복문장이 적어도 한 번은 수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