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개요
『컴퓨터과학개론』과목의 첫 번째 강의로서, 컴퓨터과학의 주요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학습에 앞서 기본적인 몇 가지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우선, 컴퓨터 그리고 컴퓨터과학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서 학습한다.
학습목표
- 컴퓨터의 정의와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관점에서의 컴퓨터과학에 대한 정의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하나의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연습문제
- 컴퓨터를 데이터 처리기라는 관점으로 정의하려고 한다. 이때 처리 가능한 작업의 유형과 연산의 집합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인가?
- 프로그램
- 데이터
- 입출력
- 정보
정답 : 1
- 컴퓨터과학은 데이터 처리 관점에 필요한 다음과 같은 4가지 요소를 통해서 정의할 수 있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컴퓨터과학은 ( ), ( ), ( ), ( ) 분야의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자료 처리를 위한 제반 기술과 방법을 제공한다.
- 정보
- 데이터
- 프로그램
- 알고리즘
정답 : 1
- 하나의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로서 거리가 먼 것은?
- 사용자
- 인터넷
- 소프트웨어
- 데이터
정답 : 2
- 폰 노이만 모델과 관련된 설명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 컴퓨터의 내부 구조와 처리 과정을 정의한 모델이다.
- 내장 프로그램(stored-program)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 데이터와 함께 실행될 프로그램도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한다.
- 데이터는 비트 패턴으로 저장되어야 함을 정의하고 있다.
정답 : 4
정리하기
- 컴퓨터
- 컴퓨터 → 프로그램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기 – 프로그램 → 컴퓨터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조작)할지를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의 집합으로,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작업의 유형과 연산의 집합을 결정 – 컴퓨터 장점(특징) → 신속, 정확, 자동, 대용량
.
- 컴퓨터 → 프로그램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기 – 프로그램 → 컴퓨터가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조작)할지를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의 집합으로, 컴퓨터에서 처리 가능한 작업의 유형과 연산의 집합을 결정 – 컴퓨터 장점(특징) → 신속, 정확, 자동, 대용량
- 컴퓨터과학
- 컴퓨터과학이란?
- 데이터의 획득, 표현, 처리, 저장, 통신, 접근을 위한 방법들의 실행 가능성, 구조화, 표현, 기계화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학문 분야
- 컴퓨터, 데이터, 프로그램, 알고리즘 분야의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자료 처리를 위한 제반 기술과 방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학문
- 알고리즘과 관련된 이슈를 다루는 학문
- 컴퓨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에 대한 학문
- 컴퓨터공학 vs 컴퓨터과학
- 컴퓨터공학 → 가격 대비 성능 특성이 가장 좋은 컴퓨터 엔진을 만들기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를 조립하는 방법에 중점을 둠
- 컴퓨터과학 → 현재의 기술에 덜 의존적인 방식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효율적이고 실현 가능성에 보다 초점을 둠
.
- 컴퓨터과학이란?
- 컴퓨터 시스템
- 하나의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4가지 구성요소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 사용자
- 하드웨어 → 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물리적 기계장치 및 전자장치
- 핵심장치→ 중앙처리장치(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장치), 기억장치(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 소프트웨어 → 모든 프로그램을 총체적으로 표현하는 것 →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
- 데이터 → 컴퓨터가 처리할 대상으로 컴퓨터 내부에서 비트 패턴으로 변환되어 처리되고, 적절한 변환 과정을 다시 거쳐 출력됨
- 사용자 →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전반적인 과정에 다양하고 적극적인 형태로 사람이 개입이 필요
- 폰 노이만 모델 → 컴퓨터의 내부 구조와 처리 과정을 정의한 모델 → 모든 컴퓨터는 폰 노이만 모델에 기반을 둠
- 4개의 서브시스템(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으로 구성
- 내장 프로그램 방식 → 데이터와 함께 실행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함 →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같은 메모리에 저장된다는 것은 같은 형식(“비트 패턴”)으로 저장된다는 의미를 내포
- “프로그램은 명령어의 나열” → 기본 명령어의 집합을 미리 정의하고, 이들의 유한개의 조합으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