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개요
데이터가 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여러 연구와 실증적 지표들이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의사결정과 생산성 향상을 포함해 기업의 여러 활동과 프로세스 개선이 빅데이터와 직접 연관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략적 자원으로서의 데이터에 대한 경영자의 인식도 크게 달라지고 있다. 각 기능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다 효과적이며 신속한 의사결정과 시장과 고객에 대한 높은 이해, 그리고 고도화된 맞춤화가 빅데이터 경영을 이끄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학습목표
- 빅데이터의 효과의 실체에 대해 이해한다.
- 빅데이터의 실증효과의 배경에 대해 이해한다.
- 빅데이터를 통한 가치창출 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연습문제
- 메킨지가 실시한 기업들의 빅데이터 경영 환경 변화 인식 조사에서 기업들은 “그 동안 사용하지 않던 데이터를 사용해 통찰력을 도출”하는 것이 가장 많은 변화라고 응답했다.
O
X정답 : X - 앱이나 웹사이트에서의 고객 등록 정보, 온라인 설문조사 등은 이제 기장 기본적인 고객 데이터 소스이다.
O
X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고객이 해당 기업을 처음 접촉하는 경우가 일반화되면서 이러한 소스들은 고객 정보의 원천이 되고 있다. - 다음 중 빅데이터와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한 것은?
- 빅데이터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 IT 컨설팅 업체인 캡제미니의 조사결과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에 직원당 수익, 고정 자산 회전율, 수익성 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 경영 컨설팅 업체 메킨지의 조사 결과 응답자의 47%는 데이터와 분석이 지난 3년 동안 해당 산업의 경쟁 특성을 크게 또는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고 말했다.
- 2011년 MIT 경영대학원의 경제학자 에릭 브린욜프슨(Erik Brynjolfsson)의 연구에 따르면 데이터 및 분석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강조하는 기업은 의사결정을 위해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기업보다 성과 면에서 50~60%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정답 : 3
- 다음 중 BCG가 말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치창출의 3가지 핵심 과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데이터의 확보
- 통찰력의 창출
- 의사결정의 실행
- 외부 데이터의 공유
정답 : 4
정리하기
- 빅데이터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는 학술적, 실증적으로 증명되고 있으며, 연구가 계속되면서 빅데이터 활용의 어떤 측면이 이러한 성과에 기여하는지도 밝혀지고 있다.
- 빅데이터를 통한 더 빠르고 지능적인 의사결정, 정보의 투명성, 고도화된 맞춤화, 효율적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구현 등으로 인해 기업의 경영성과는 향상되고 있다.
- 빅데이터 기반의 가치창출은 데이터의 확보, 통찰력의 창출, 의사결정의 실행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 데이터 확보는 고객 데이터의 경우 광범위한 내부, 외부 및 추론된 속성을 기반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