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개요
빅데이터 의사결정은 서술적 분석, 진단적 분석, 예측적 분석, 처방적 분석 단계 순으로 그 분석 수준과 파급 효과가 높아진다. 서술적 및 진단적 분석은 과거의 모습을 분석하는 것에 치중하는 반면(무엇이 문제이고,원인인지), 예측적 및 처방적 분석은 각각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왜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후자는 미래에 발생할 결과나 상황(이렇게 하면 되나? 혹은 이렇게 해야 되겠군)에초점을 둔다.
학습목표
- 빅데이터 의사결정의 단계를 이해한다.
- 서술적 분석, 진단적 분석 빅데이터 의사결정에 대해 이해한다.
- 예측적 분석, 처방적 분석 빅데이터 의사결정에 대해 이해한다.
연습문제
- 서술적 분석은 탐색적 분석(exploratory analytics)이라고도 하며 사업 분야에서 발생한 사건 혹은 관심 사항들의 원인을 찾는 분석이다.
O
X정답 : X - 처방적 분석은 다양한 대안과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이해하고 최상의 옵션을 선택하며 앞으로 일어날 일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O
X정답 : O - 빅데이터 의사결정 4단계 중 각종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미래를 내다보고 가정 시나리오와 위험 평가에 중점을 두는 단계는?
- 서술적 분석
- 진단적 분석
- 예측적 분석
- 처방적 분석
정답 : 3
- 한 소매업체에서 지난 달의 고객 수, 제품별 판매액 등을 참고해서 진열대의 상품 구성과 배치를 조정했다면 이는 빅데이터 의사결정의 분석 수준에서 어느 수준의 데이터 활용이라고 할 수 있는가?
- 서술적 분석
- 진단적 분석
- 예측적 분석
- 처방적 분석
정답 : 1
정리하기
- 빅데이터 의사결정 분석의 수준은 서술적 분석, 진단적 분석, 예측적 분석, 처방적 분석 단계 순으로 높아짐과 동시에 활용 효과도 커진다.
- 서술적 분석은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혹은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 분석이다.
- 진단적 분석은 사건이나 문제의 원인을 찾는 분석이다.
- 예측적 분석은 말 그대로 미래를 예측하나, 이는 주로 선택의 대안이 어떤 결과를 영향을 미치는지를 예상해 보는 분석이다.
- 처방적 분석은 다양한 대안과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이해하고 최상의 옵션을 선택하고 앞으로 일어날 일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